TV, 라디오, 인터넷 등에서 미세먼지 예 · 경보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고, 황사 피해 예방을 위해 시설물을 점검합니다.
가정에서는 ∙ 미세먼지 예·경보 상황을 수시로 확인합니다. ∙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을 점검합니다. ∙ 외출 시, 필요한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 등을 준비합니다. ∙ 노약자, 호흡기질환자 등은 실외활동을 자제합니다.
교육기관에서는 ∙ 미세먼지 예·경보 상황을 수시로 확인합니다. ∙ 등·하교시간 조정이나 단축수업, 실내수업 대체 등을 검토합니다. ∙ 학생들의 비상연락망을 사전에 점검하고, 연락체계를 유지해 둡니다. ∙ 교육기관에 마스크, 상비약 등이 구비되었는지 확인하고, 공기정화장치 등 시설물을 점검합니다. ∙ 학부모에게 황사 행동요령을 알리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행동요령을 지도합니다.
농가에서는 ∙ 미세먼지 예·경보 상황을 수시로 확인합니다. ∙ 실외에 있는 가축은 축사 안으로 대피 준비를 합니다. ∙ 노지에 방치·야적된 사료용 볏집 등에 비닐 등 피복물품을 준비합니다. ∙ 동력분무기 등 황사 세척용 장비를 점검합니다. ∙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점검합니다.
어르신보호시설에서는 ∙ 미세먼지 예·경보 상황을 수시로 확인합니다. ∙ 어르신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황사발생을 대비해 위생점검을 합니다. ∙ 보호시설에 마스크, 상비약 등이 구비되었는지 확인하고, 공기정화장치 등 시설물을 점검합니다. ∙ 보호자에게 황사 행동요령을 알리고, 어르신을 대상으로 행동요령을 지도합니다.
1. 위기상황, 긴급상황 시 신고전화 | 2. 행정안전부 국민행동요령, 임시주거실 등 안내 | 3. 유관기관 연락처 및 홈페이지 |
---|---|---|
|
|
|
행정안전부가 창작한 국민재난안전포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