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다운로드앱 설치하고 일일날씨정보와 방송알림 서비스를 받아보세요!
Google PlayGoogle PlayApp StoreApp Store

공주시 재난안전포털

재난예방정보

핵심 행동요령

TV, 라디오, 인터넷 등에서 태풍·호우가 예보된 때에는 낙뢰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사전에 거주 지역에 영향을 주는 시기를 파악하고, 낙뢰가 발생되기 전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합니다.

상세 행동요령
  • 태풍의 진로 및 도달시간을 파악해서 대피계획을 세웁니다. - 재난정보는 TV,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안전디딤돌 앱에서 수신합니다.

  • 위험지역에 접근하지 말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산간·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등산, 야영, 물놀이, 낚시 등을 멈추고 즉시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저지대나 상습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지하공간이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건물 등에서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강풍 및 침수에 대비해 건물, 시설물, 차량 등 보호조치를 합니다. 강풍대비 노후된 창문은 강풍으로 휘어지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으니 사전에 교체 또는 보강합니다. ※ 유리창 파손 시 유리 파편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창문에 유리창 파손 대비 안전필름을 붙입니다. ※ 창문틀과 유리창 사이가 벌어져 있으면 유리창 파손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창문틀과 유리창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보강해 주고 테이프를 붙일 때에는 유리가 창틀에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합니다. - 지붕, 간판이나 교회 철탑과 같은 옥외 설치물의 경우 강풍으로 인한 파손 시 2차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강풍 발생 전 반드시 고정하거나 보강합니다. - 강풍에 날아갈 가능성이 있는 외부의 모든 물건들은 강풍 발생 전 제거하거나 실내로 안전하게 이동합니다. - 비닐하우스의 경우 취약 부분을 사전에 보강하고, 주위의 물건이 강풍에 날아와 피해를 입지 않도록 주변을 미리 정리합니다. - 강풍에 노출되는 전선들은 누전이나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선 연결 부위를 사전에 점검하고 필요할 경우 교체합니다. 침수대비 - (가정) 하수구나 집 주변의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은 뚫어야 합니다. - (지하주차장, 지하공간) 침수가 예상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물 등에서는 모래주머니, 물막이 판 등을 이용하여 피해를 예방합니다. - (하천이나 해변, 저지대)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대피 안내 수신을 위해 차량에 연락처를 남겨둡니다. - (농촌) 농경지 용ㆍ배수로와 논둑을 정비하여 피해를 예방하고, 물꼬를 조정합니다. ※ 단, 비가 오기 전(예비특보 단계)에만 조치합니다. - (어촌) 선박은 단단히 결박하거나 육지로 인양하고, 어망ㆍ어구 등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킵니다.

  •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준비하여 재난 발생에 대비합니다. - 비상시 신속히 응급용품을 가지고 대피할 수 있도록 사전에 배낭 등에 모아둡니다. -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욕조 등에 미리 물을 받아둡니다. - 정전에 대비하여 손전등, 배터리 등을 미리 준비해 둡니다.

  •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등 주변의 대피약자 안부를 수시로 확인하고, 비상시 대피방법을 미리 전달합니다.

주요기관 연락처

1. 위기상황, 긴급상황 시 신고전화2. 행정안전부 국민행동요령, 임시주거실 등 안내3. 유관기관 연락처 및 홈페이지
  • 재난신고 119, 범죄신고 112, 민원 상담 110

  •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 044)205-1541~3

국민행동요령

태풍
  • - 자주 물에 잠기는 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등의 위험한 곳은 피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실내에서는 문과 창문을 닫고, 외출을 하지 않으며, TV, 라디오, 인터넷 등을 통해 가상 상황을 확인합니다. - 개울가, 하천변, 해안가 등 침수 위험지역은 급류에 휩쓸릴 수 있으니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 산과 계곡의 등산객은 계곡이나 비탈면 가까이 가지 않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공사자재가 넘어질 수 있으니 공사장 근처에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 농촌에서는 논둑이나 물꼬의 점검을 위해 나가지 않습니다.

  • 하천 급류 - 호우·태풍 등으로 하천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하천 주변에 접근하지 않습니다. 차량 침수 - 조금이라도 침수된 지하차도와 도로는 절대 지나가지 않습니다. 강풍에 의한 낙하물 - 유리창 및 건물 간판 근처는 강풍에 의한 낙하물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가급적 공터나 건물 안으로 대피합니다. 낙뢰 - 번개를 본 후 30초 이내에 천둥소리를 들었다면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여 즉시 몸을 낮추고 물이 없는 움푹 파인 곳이나 동굴 안으로 대피합니다. 세월교·교량 횡단 - 세월교나 소규모 교량이 물에 잠긴 경우 절대 건너지 않습니다. 물꼬 - 호우·태풍 특보가 발효된 경우 물꼬를 보러 나가지 않도록 합니다.

  • 어린이 부모님이나 선생님과 떨어지지 않도록 가까이 이동하고 말씀에 귀 기울여 듣도록 합니다. 부모님과 선생님의 말씀에 따라 강한 바람이나 비를 피해 안전한 장소로 질서를 유지하며 이동합니다. ※ 보호자 행동요령 - 어린이가 길을 잃고 무리에서 멀어지지 않도록 항상 체크합니다. - 재난 상황에 당황하지 않고 침착한 자세로 어린이를 안전한 장소로 안내합니다.

  • 노약자 호우·태풍 등 특보가 발효된 경우 밖으로 나가지 않습니다. 부득이 하게 야외에 나가야 하는 경우 만일에 사태에 대비해 사전에 자녀·친척·이웃에게 알립니다. ※ 보호자 행동요령 - 호우·태풍 특보 시 부모님 등 노약자에게 외출하지 않도록 안부 전화를 합니다. - 부모님 등 노약자와 연락체계를 항상 유지하며, 연락 두절 시 경찰서, 관공서 등에 신속하게 신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