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설은 짧은 시간에 급격히 눈이 쌓이게 되므로 교통 정체·고립, 쌓인 눈의 무게로 인한 시설물 붕괴·전도 등 다양한 피해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사전에 다음과 같이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준비합니다.
재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거주 지역의 재해위험 요인을 미리 확인합니다. - 재난정보는 TV,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안전디딤돌 앱에서 수신합니다. ※ 스마트폰 안전디딤돌 앱 설치를 통해 대설, 풍랑 등 기상특보나 눈사태, 시설물 붕괴 등 재난예ㆍ경보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 거주지역의 재해위험 요인(눈사태, 붕괴위험시설물 등)은 과거 피해 자료를 통해 확인합니다.
가족, 이웃과 함께 대피계획을 세웁니다. - 지역 대피장소와 안전한 이동 방법, 대피요령을 미리 숙지하고 어린이 등 재해약자에게 알려 줍니다. ※ 지역의 대피장소는 국민재난안전포털이나 지자체 홈페이지의 임시대피소,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가족이 각각 이동할 때를 대비하여 다시 만날 장소를 미리 정합니다.
재난 발생에 대비하여 비상용품을 미리 준비합니다. -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라디오, 핸드폰 충전기, 휴대용 버너, 연료, 담요 등 비상용품을 미리 한 곳에 준비해 둡니다. -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연료를 미리 채워 두고, 차량이 없을 경우 차량이 있는 가까운 이웃과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미리 약속해 둡니다.
1. 위기상황, 긴급상황 시 신고전화 | 2. 행정안전부 국민행동요령, 임시주거실 등 안내 | 3. 유관기관 연락처 및 홈페이지 |
---|---|---|
|
|
|
- 산간 고립 우려 지역에서는 식량, 연료 등 비상용품을 준비합니다.
- 눈이 많이 쌓인 가로수, 노후건축물, 비닐하우스 등은 붕괴될 우려가 있으니 접근하지 않습니다.
- 제설작업은 주간에, 2인 이상, 안전을 확보한 후 실시하며, 지붕 올라가기 등 무리한 작업은 하지 않습니다. - 스노체인, 염화칼슘, 삽 등 자동차 월동용품 및 제설도구를 미리 준비합니다. -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되, 차량 운행 시에는 저속 운행하고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합니다.
- 차량이 고립될 때는 119에 신고하고 차 안에서 TV, 라디오, 인터넷 등을 통해 기상 상황을 확인하며 구조를 기다립니다.
행정안전부가 창작한 국민재난안전포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