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다운로드앱 설치하고 일일날씨정보와 방송알림 서비스를 받아보세요!
Google PlayGoogle PlayApp StoreApp Store

공주시 재난안전포털

재난예방정보

핵심 행동요령

호우는 하천 범람, 산사태, 침수 등을 통해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대비합니다.

상세 행동요령
  • 재난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거주지역의 재해위험 요인(과거 피해 이력 등)을 미리 확인합니다. - 재난정보는 TV,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안전디딤돌 앱에서 수신합니다

  •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대피계획을 세웁니다. - 지역의 대피 장소(행정복지센터, 학교 등)와 안전한 이동 방법, 대피요령을 미리 숙지하고, 어린이들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대피경로는 하천변, 산길, 전신주나 변압기 주변, 침수된 지역 등은 피하도록 합니다. - 가족이 각각 이동할 때를 대비하여 다시 만날 장소를 미리 정합니다.

  • 주변의 시설물을 점검합니다. - 주변의 배수로, 빗물받이는 수시로 청소를 실시하고 비가 새거나 막힌 곳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비탈면, 옹벽, 축대 등에 균열이 있는지 점검하고, 위험할 경우 정비하거나 시·군·구청에 신고합니다.

  • 재난 발생에 대비하여 비상용품을 미리 준비합니다. - 전기와 가스, 수도 등이 멈추는 경우를 대비하여 최소 3일간 버틸 수 있는 식량ㆍ식수ㆍ생필품 등을 미리 비축해둡니다. -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라디오, 핸드폰 충전기, 휴대용 버너, 담요 등 비상용품을 미리 한 곳에 준비해 둡니다. -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연료를 미리 채워 두고, 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차량이 있는 가까운 이웃과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미리 약속해 둡니다.

주요기관 연락처

1. 위기상황, 긴급상황 시 신고전화2. 행정안전부 국민행동요령, 임시주거실 등 안내3. 유관기관 연락처 및 홈페이지
  • 재난신고 119, 범죄신고 112, 민원 상담 110

  •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 044)205-1541~3

국민행동요령

태풍
  • - 자주 물에 잠기는 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등의 위험한 곳은 피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실내에서는 문과 창문을 닫고, 외출을 하지 않으며, TV, 라디오, 인터넷 등을 통해 가상 상황을 확인합니다. - 개울가, 하천변, 해안가 등 침수 위험지역은 급류에 휩쓸릴 수 있으니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 산과 계곡의 등산객은 계곡이나 비탈면 가까이 가지 않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공사자재가 넘어질 수 있으니 공사장 근처에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 농촌에서는 논둑이나 물꼬의 점검을 위해 나가지 않습니다.

  • 하천 급류 - 호우·태풍 등으로 하천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하천 주변에 접근하지 않습니다. 차량 침수 - 조금이라도 침수된 지하차도와 도로는 절대 지나가지 않습니다. 강풍에 의한 낙하물 - 유리창 및 건물 간판 근처는 강풍에 의한 낙하물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가급적 공터나 건물 안으로 대피합니다. 낙뢰 - 번개를 본 후 30초 이내에 천둥소리를 들었다면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여 즉시 몸을 낮추고 물이 없는 움푹 파인 곳이나 동굴 안으로 대피합니다. 세월교·교량 횡단 - 세월교나 소규모 교량이 물에 잠긴 경우 절대 건너지 않습니다. 물꼬 - 호우·태풍 특보가 발효된 경우 물꼬를 보러 나가지 않도록 합니다.

  • 어린이 부모님이나 선생님과 떨어지지 않도록 가까이 이동하고 말씀에 귀 기울여 듣도록 합니다. 부모님과 선생님의 말씀에 따라 강한 바람이나 비를 피해 안전한 장소로 질서를 유지하며 이동합니다. ※ 보호자 행동요령 - 어린이가 길을 잃고 무리에서 멀어지지 않도록 항상 체크합니다. - 재난 상황에 당황하지 않고 침착한 자세로 어린이를 안전한 장소로 안내합니다.

  • 노약자 호우·태풍 등 특보가 발효된 경우 밖으로 나가지 않습니다. 부득이 하게 야외에 나가야 하는 경우 만일에 사태에 대비해 사전에 자녀·친척·이웃에게 알립니다. ※ 보호자 행동요령 - 호우·태풍 특보 시 부모님 등 노약자에게 외출하지 않도록 안부 전화를 합니다. - 부모님 등 노약자와 연락체계를 항상 유지하며, 연락 두절 시 경찰서, 관공서 등에 신속하게 신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