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 전조 현상을 미리 알아 둡니다. ∙ 땅이 울리며 산비탈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샘솟을 때 ∙ 바람이 불지 않는 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질 때 ∙ 계곡의 상류에서 과도한 흙탕물이 밀려올 때 ∙ 산비탈의 흙이 무너지거나 돌이 굴러 내려올 때 *전조 현상 : 어떠한 일의 징조로 나타나는 현상
집(주택, 건물) 주변을 안전하게 관리합니다. ∙ 실내의 가스 및 전기 차단기 설치, 작동 여부 등을 미리 점검합니다. ∙ 집(주택, 건물) 주변에 담장·나무 등이 넘어질 위험이 있는지 점검합니다. ∙ 산과 가까이에 있는 집(주택, 건물)은 옹벽 및 배수로 등을 미리 설치하거나 점검합니다. ∙ 기타 위험요인이 발견되면 정비하거나 거주지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 등에 신고합니다.
위급한 상황에 대비해 둡니다. ∙ 가족회의를 통하여 비상 연락망과 각자의 대응 역할을 결정합니다. ∙ 대피(피난) 할 장소와 경로를 미리 확인합니다. ∙ 응급처치 방법 등을 미리 숙지합니다. ∙ 스마트폰에 산사태 예보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산림재난’ 앱을 미리 설치합니다.
비상용품을 준비해 둡니다. ∙ 비상용품을 미리 준비해 둡니다. - 비상식품 : 물, 통조림, 라면 등 가열하지 않고 먹을 수 있는 것 - 구급약품 : 연고, 감기약, 소화제, 복용 중인 약 등이 포함된 구급함 - 생활용품 : 간단한 옷, 화장지, 물티슈, 라이터, 여성용품, 비닐봉지 - 기타 : 라디오, 손전등 및 건전지, 휴대전화, 휴대전화 충전기, 보조배터리, 비상금, 비상 연락망 등 ∙ 비상용품 보관 장소와 사용방법 등을 알아 둡니다. - 가족회의를 통하여 항상 일정한 장소에 보관합니다. - 비상용품의 유효기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교체합니다.
행정안전부가 창작한 국민재난안전포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