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다운로드앱 설치하고 일일날씨정보와 방송알림 서비스를 받아보세요!
Google PlayGoogle PlayApp StoreApp Store

공주시 재난안전포털

재난예방정보

핵심 행동요령

한파는 저체온증, 동상, 동창 등의 한랭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농·축·수산 분야의 재산피해와 전력 급증으로 생활불편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겨울철에는 다음 사항을 숙지하여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합니다.

상세 행동요령
  • 겨울철에는 TV,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안전디딤돌 앱 등을 통해 기상상황을 수시로 확인하며, 주변 사람들과 함께 정보를 공유합니다.

  • 한랭질환(저체온증, 동상 등)에 대한 증상 및 조치사항을 사전에 숙지하고, 가까운 병원 연락처 등을 가족ㆍ이웃과 함께 알아둡니다 - 어린이, 노약자, 심뇌혈관질환자 등 취약계층은 추위에 약하므로 건강관리에 더욱 유의합니다. - 당뇨 환자, 만성 폐질환자 등은 반드시 독감 예방접종을 합니다.

일반 가정
  • 보일러, 배관, 난방기구 등은 사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정비하고 화재에 주의합니다.

  • 동파 방지를 위해 계량기 등은 미리 보온 조치를 합니다. - 수도 계량기, 수도관 등에 찬 공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헌 옷 등을 활용하여 보온합니다.

  • 오래된 주택은 변압기를 사전에 점검하여 과부하에 대비합니다.

  • 외출할 때를 대비하여 내복, 목도리, 모자, 장갑 등을 준비합니다.

  • 정전에 대비하여 손전등, 비상 식음료, 휴대용 라디오 등을 미리 준비합니다.

  • 단수에 대비하여 생수를 준비하고, 생활용수는 욕조에 미리 받아 둡니다.

  • 장애인, 어린이, 노약자 등은 사전에 연락처를 확인하고 한파 대처 상황을 꼼꼼하게 챙깁니다.

  • 가정 내 어린이와 노약자가 있는 경우 체온과 실내 온도를 자주 확인하여 충분히 따뜻하게 유지합니다. - 만 1세 이하의 영유아는 절대 차가운 방에서 재우면 안됩니다. - 집에 65세 이상의 어르신이 있는 경우 자주 볼 수 있는 실내 장소에 읽기 쉬운 온도계를 놓아둡니다. ※ 노인들은 온도 변화를 느끼는 능력이 떨어지며, 낮은 신체대사와 활동으로 한파에 취약합니다.

차량 이용자
  • 한파로 인한 빙판길 교통사고 위험이 높으니 가급적 장거리 운전을 자제합니다.

  • 자동차 월동용품을 미리 준비해두고 자동차 상태를 수시로 점검합니다. - 주요 월동용품으로는 스노체인(스프레이 체인), 모래주머니, 염화칼슘, 삽, 부동액, 축전지, 각종 윤활유 등이 있습니다.

  • 창문을 닫고 히터를 오래 켜면 뇌에 전달되는 산소량이 떨어져 졸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최소 30분에 1회 이상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실시합니다.

주요기관 연락처

1. 위기상황, 긴급상황 시 신고전화2. 행정안전부 국민행동요령, 임시주거실 등 안내3. 유관기관 연락처 및 홈페이지
  • 재난신고 119, 범죄신고 112, 민원 상담 110

  •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 044)205-1541~3

국민행동요령

한파
  • 노약자, 영유아 등을 위해 난방과 온도관리에 유의합니다.

  • 외출 시에는 동상에 걸리지 않도록 보온에 유의합니다.

  • 동상에 걸리면, 비비지 말고 따뜻한 물에 30분가량 담그고, 온도를 유지하며 즉시 병원으로 갑니다.

  • 수도계량기, 보일러 배관 등은 헌 옷 등으로 보온합니다.

  • 장기간 외출 시 온수를 약하게 틀어 동파를 방지합니다.

  • 도로가 얼 수 있으니 차에 스노체인 등 월동용품을 준비하고, 부동액 등 자동차 점검을 합니다.

행정안전부 로고

행정안전부가 창작한 국민재난안전포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